
거식세포
골수세포의 대표
골수세포들은 임파세포와는 달리 항원을 하나하나 특이적으로 인식하지는 못합니다. 임파세포들은 항원을 하나하나 정교하게 인식하는 것과는 다르게 골수세포들은 항원이 들어오면 항상 동일한 방식으로 방어에 나서게 됩니다. 작은 동네에 늑대가 나타나면 마을 사람들이 모두 뛰어나와 몽둥이와 꽹과리를 들고 늑대를 쫓아내겠지요? 이번에 호랑이가 나타났다면, 마을 사람들은 늑대의 경우와 동일하게 반응할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임파세포들은 고도로 훈련된 특수부대의 병사들이라면, 골수세포들은 앞에서 예를 들었던 작은 마을의 주민들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골수세포에도 종류가 많습니다만, 편의상 한 가지 세포에 대해서만 말씀드리겠습니다. 거식세포(巨食細胞) 또는 대식세포(大食細胞)라고 하는 탐식세포(貪食細胞)가 있는데, 외부에서 들어온 병원균이나 외부 물질, 그리고 수명을 다한 우리의 세포들을 잡아먹는 세포입니다. 언뜻 보면 청소부의 역할 정도만 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만, 거식세포(macrophage)는 외부에서 들어온 물질을 잡아먹기만 하는 것은 아닙니다. 적절한 과정을 거쳐 외부에서 항원이 침입하였다는 사실을 임파세포들에게 알릴 수 있는 작업을 하게 됩니다.
병원성 미생물이 하나씩 들어오면 그 항원의 양이 적기 때문에 B 세포나 T 세포들은 이들의 존재를 무시하게 됩니다만, 거식세포가 잡아먹은 병원성 미생물들이 가지고 있는 항원들을 모아서 세포 표면에 붙여둡니다. 이때의 항원의 양은 임파세포들에게 적절한 출동명령을 내릴 수 있는 양이 됩니다. B 세포나 T 세포가 놓칠 뻔 했던 항원의 존재를 알려주는 것이지요.
우리 몸의 방어 기작을 요약해 보면, 거식세포와 같은 골수세포들이 일차 방어를 맡습니다. 이들이 해결할 수 있는 수준이면 거기에서 면역 반응은 중지됩니다. 하지만 골수세포들의 방어 능력을 넘어서는 정도의 외부 공격이 있다면, 비로소 임파세포들이 출동하게 되는 것이지요.
그렇다면 골수세포들은 항원을 어떻게 알아볼까요? 늑대인지 집 나간 강아지인지 어떻게 알아볼까요? 이들도 손으로 더듬어서 상대를 인식합니다. 오랫동안 이들의 인식 방법에 대한 의문이 풀리지 않았지만, 최근에 이르러, 특히 미생물들이나 병을 일으킬 수 있는 물질들은 나름대로의 공통된 표식이 존재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마치 현상수배범의 얼굴을 보고 범인을 체포하는 경우로 비유할 수 있겠습니다.
거식세포들도 T 세포처럼 여러 종류의 면역 조절물질을 만들어 내고 있습니다. 여기에는 염증 반응을 유발하는 물질들도 들어 있는데, 면역 반응이 일어나면, 우리 몸에서는 정도의 차이가 있겠지만 염증(炎症; inflammation, 영어로도 불꽃이라는 말입니다)이 수반되는 것입니다. 저는 종종 면역 반응은 곧 염증 반응이라고 주장하기도 합니다.
